본문 바로가기
대학원/lecture note

Nature and Philosophy of Geography

by lucky__lucy 2025. 1. 12.

1 What Is Geography?

  • 지리학은 자연환경(physical environment)과 인간 활동(human activity)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 공간(space), 장소(place), 환경(environment), 경관(landscape)등의 핵심 개념 소개
    • 공간: 물리적이거나 추상적인 위치와 거리를 포함한 개념으로, 사물이나 현상이 존재하고 상호작용하는 범위
    • 장소: 특정한 의미와 감정이 부여된 공간으로,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특별한 정체성을 갖는 위치
    • 환경: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하는 물리적·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맥락을 모두 포함하는 주변의 모든 요소
    • 경관: 자연적 요소와 인간 활동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표면의 외형적 모습으로, 시각적·문화적 특성이 드러나는 공간의 형태
  •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의 관계와 차이점, 현대 지리학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탐구

 

2 The Roots of Geography

  • 고대 문명에서부터 지리학의 기원을 탐구
  • 고대 그리스의 헤로도토스(Herodotus)와 프톨레마이오스(Ptolemy), 이슬람 세계의 알-이드리시(Al-Idrisi) 등의 지리적 탐구
  • 중세 유럽의 종교적 세계관 대항해시대의 지리적 발견이 지리학 발전에 미친 영향
    • 중세 유럽의 종교적 세계관은 지리학의 과학적 발전을 제한했지만, 대항해시대의 지리적 발견은 실용적 탐사와 과학적 탐구를 촉진시켜 지리학을 제도화된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됨

 

3 From Cosmography to an Institutionalized Discipline

  • 17~19세기 지리학이 독립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는 과정
    • 17~19세기 지리학은 과학혁명과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탐험, 식민지 확장, 지도 제작이 활발해지며 자연과 인간 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
  • 프리드리히 라첼(Friedrich Ratzel)의 환경결정론(environmental determinism)과 엘렌 처칠 셈플(Ellen Churchill Semple)의 연구
    • 프리드리히 라첼은 환경결정론을 통해 자연환경이 인간의 사회와 문화를 결정한다고 주장했으며, 엘렌 처칠 셈플은 이를 계승·발전시켜 인간 활동이 지리적 환경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을 미국 지리학에 적용
  • 폴 비달 드 라 블라쉬(Paul Vidal de la Blache)의 가능론(possibilism)과 지역 연구의 발전

 

4 The Regional Tradition

  •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지리학의 중심이었던 지역연구(regional studies) 중심의 접근 방식 소개
    • 특정 지역의 특성과 차이를 심층적으로 연구
  • 지역 문화, 경제, 자연환경 특성을 상세히 기술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지리학을 발전
  • 그러나 서술적 접근이 지리학의 과학적 발전을 제한했으며, 공간분석과 같은 새로운 분석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

 

5 The Growth of Spatial Science

  • 1950~1960년대의 양적혁명(quantitative revolution)을 중심으로 지리학의 과학화
    • 공간분석(spatial analysis)과 수리모델(mathematical models)이 적극 도입
  • 월터 크리스탈러(Walter Christaller)의 중심지 이론(Central Place Theory),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공간 이론 등이 등장
  • 공간분석(spatial analysis)은 도시계획, 교통, 경제 활동 등 실제 문제 해결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인간의 감정이나 문화적 맥락을 간과한 한계 존재

 

6 Paradigms and Revolutions

  • 토마스 쿤(Thomas Kuhn)의 과학적 패러다임 개념을 지리학에 적용
  • 지리학의 발전 과정에서 환경결정론, 가능론, 양적혁명, 비판적 지리학 등 다양한 패러다임 전환이 있었음
  • 이러한 변화가 지리학의 학문적 진화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분석

 

7 Positivism and its Critics

  • 양적혁명의 기반이었던 실증주의(positivism) 접근법
    • 실증주의(positivism)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중시하는 연구 접근법으로, 양적혁명을 통해 지리학에 큰 영향을 미침
  •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이 지리학의 발전을 이끌었지만, 인간 경험과 문화적 요소를 간과했다는 비판
  • 비판적 지리학(critical geography)과 인간주의 지리학(humanistic geography)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

 

8 Alternatives to Spatial Science

  • 실증주의와 공간과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들 소개
  • 마르크스주의 지리학(Marxist geography), 페미니즘 지리학(feminist geography), 행위자 중심 지리학(behavioral geography) 등이 이에 포함
    • 마르크스주의 지리학: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공간적 불평등을 분석
    • 페미니즘 지리학: 젠더 관점에서 공간을 이해
    • 행위자 중심 지리학: 사회적, 물리적, 기술적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접근법으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이 공동으로 만들어가는 관계망을 분석
  • 공간적 불평등, 사회 정의, 권력 구조 등을 분석하며 기존 지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

 

9 Post-Structuralism and Beyond

  •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과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사조가 지리학에 미친 영향
    • 포스트모더니즘: 보편적 진리와 절대적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고, 사회와 문화 현상을 다원적이고 상대적인 시각에서 해석하며, 다양성, 불확실성, 변화를 강조
    • 포스트구조주의: 공간과 사회 현상을 담론, 권력, 정체성의 관계 속에서 이해
  • 담론(discourse), 정체성(identity), 권력(power), 다양성(diversity) 등의 개념이 중요해짐
  •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의 제3공간(Thirdspace) 개념과 같은 새로운 공간 이론이 등장
    • 제3공간(Thirdspace): 물리적·사회적 공간을 넘어서 상징적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

 

10 Geographical Tasks in A Globalizing World

        • 세계화(globalization)와 기후변화(climate change), 도시화(urbanization) 등의 글로벌 이슈를 다룸
        • 지리정보시스템(GIS), 원격탐사(remote sensing),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현대 지리학의 역할을 강조
        • 사회적 불평등, 환경 문제 해결,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한 지리학의 실천적 역할을 제시

 

 

Holt-Jensen, A. (2018). Geography: History and concepts.



 

 

728x90
반응형

'대학원 > lecture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vanc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0) 2025.03.19
Advanced Geographic Research Design  (0)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