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S39

[ArcMap] 문자열 Query 쿼리 작성법, 특정 글자를 포함하는 행 추출 ArcMap 10.3 버전입니다. 예시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name"열에서 '삼성서울병원'에 해당하는 행을 찾으려면 "name" = '삼성서울병원'으로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그러면 '삼성'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행을 모두 찾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name" 열에서 '대학'이라는 글자를 포함한 행만 추출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쿼리를 작성한다. "열 이름" LIKE '포함될 내용' 구조다. 이때 %는 어떤 글자가 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 이름은 쌍따옴표, 내용은 따옴표로 입력해야 한다. "name" LIKE '%대학%' 결과는 아래와 같다. '고려'라는 단어로 시작하는 행을 추출하려면 "name" LIKE '고려%'로 추출할 수 있고, '부속병원'으로 끝나는 행을 추출하려면 .. 2023. 12. 11.
[ArcMap] 네트워크 분석 - Service Area 분석하는 방법 ArcMap 10.3 버전입니다. ※ 주의사항 이 기능은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별도의 extension 라이센스(유료)가 필요하다. 사용한 데이터 국가교통DB 도로망 데이터(이 글 참고), 직접 제작한 병원 위치 데이터 할 작업 병원 위치를 기준으로, 실제 도로망을 따라 Service Area 계산 이번 글은 병원 point에서부터 6.52, 13.03, 19.55km 거리에 해당하는 Service Area를 분석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일부 그림은 ESRI 글에서 가져왔으며, 가져온 그림들은 출처를 표시했다. 출처 표시가 없는 그림은 직접 작성한 것이다. 1. TOC에 network 데이터, 병원 point 데이터를 불러온다. 2. 메뉴 Custmize > Extensions에서 Network Anal.. 2023. 10. 11.
[ArcGIS Pro] 네트워크 분석 - Service Area 분석하는 방법 ※ 주의사항 이 기능은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별도의 extension 라이센스(유료)가 필요하다. 라이센스가 없으면 아래와 같이 'ERROR 000626: 도구 Solve을 위한 라이선스가 없습니다. The required extension(s) are not enabled. [Network Analyst] 실행에 실패했습니다(Solve).' 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사용한 데이터 국가교통DB 도로망 데이터(이 글 참고), 직접 제작한 병원 위치 데이터 할 작업 병원 위치를 기준으로, 실제 도로망을 따라 Service Area 계산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 이번 글에서 활용한 네트워크 데이터는 Open Street Map에서 다운받은 shp 데이터이며, 여기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데이터 대신 국.. 2023. 10. 10.
[ArcMap]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분석하는 법 - Step2 이 글은 이전 글에서 이어진다. step 1 과정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rcMap]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분석하는 법 - Step1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개념은 의외로 간단하기 때문에 ArcGIS에서도 Buffer와 Spatial Join 툴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서는 ArcGIS에서 실습할 수 있는 샘플 데이터와 실습 luckylucy.tistory.com 2SFCA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간분석]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접근성 분석 Two-Step Floating Catc.. 2023. 10. 10.
[ArcMap]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분석하는 법 - Step1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개념은 의외로 간단하기 때문에 ArcGIS에서도 Buffer와 Spatial Join 툴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서는 ArcGIS에서 실습할 수 있는 샘플 데이터와 실습지를 공유하고 있다. QGIS에서도 이 데이터를 활용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실습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및 방법론 설명 ▼ ArcGIS 2SFCA 샘플 데이터 및 실습지 https://www.arcgis.com/home/item.html?id=4fe25317dd9c45c1ba5100680991f22f ▼ ArcGIS 2SFCA 실습지 Two-step Floatching Catchment Method CLAREMONT GEOSPATIAL LEA.. 2023. 10. 10.
[ESRI] ArcGIS Storymap 만드는 방법 [사전 작업] 1. Arc Pro 관리자에게 https://www.arcgis.com > Organization 메뉴에서, 권한을 publisher로 변경 받아야 한다. 2. 업로드하고 싶은 각 shp 파일 뭉치를 zip 파일로 압축한다. (압축 파일에는 shp, dbf, prj 등 모든 세트가 포함되어야 한다.) [콘텐츠 등록 및 지도 생성] 1. https://www.arcgis.com 에 로그인을 한다. 2. 스토리맵을 만들기 전에 온라인 맵을 만들어두어야 한다. 메뉴에서 Content를 클릭한다. 3. 왼쪽 상단에 있는 New item을 클릭하고, 1번에서 만들어 둔 zip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한다. 4. File type은 shpefile로 두고, ~ create a hosted feature .. 2023. 8. 9.
전국 시군구 빈집 csv 데이터 데이터명: 빈집의 종류 및 건축연도별 주택-시군구 https://kosis.kr/statisticsList/mass/mass_list.jsp?org_id=101&tbl_id=DT_1JU1512&vw_cd=&list_id=&process=statHtml#jsClick 대량통계목록 kosis.kr 2023. 8. 3.
[ArcMap] Define Projection과 Project의 차이점 Define Projection 데이터셋과 함께 저장된 좌표계 ​​정보(지도 투영 및 데이텀)를 덮어씌우는 툴 데이터 세트의 좌표계를 알 수 없거나 잘못된 경우, 이 툴을 사용하여 올바른 좌표계를 지정한다. 기존 좌표계 정보만 업데이트하며 피처의 형상을 수정하지 않는다. Project 한 좌표계에서 다른 좌표계로 공간 데이터를 투영한다. 피처의 형상이 변한다. Case1) 좌표계 정보가 없거나, 좌표계 정보가 있지만 알 수 없는 좌표계로 인식됨 → Define Project로 좌표계 설정 Case2) 좌표계가 다른 두 개 이상의 피처가 있을 때,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좌표계를 바꾸고 싶음 → Project로 좌표계 변경(단, 원본 좌표계가 정확히 입력되어 있어야 함) ▼ ArcMap 에서 좌표 체계.. 2023. 7. 25.
[ArcMap] ArcMap10.2, 10.3, ArcPro에서 한글 깨짐 현상 해결법 * ArcGIS 10.2.x/10.3 이상 버전에서 Desktop 쉐이프 파일의 속성 테이블 값 오류현상 (한글 깨짐 등) 문제 해결 방법 오류가 나타나는 이유 ArcGIS 10.3 이상 버전에서는 shp 파일을 UTF-8로 인코딩하고 있으며, 문자열의 길이를 바이트로 측정하고 있다. 속성 테이블의 필드명의 길이는 10바이트로 제한하고 있는데, 한글은 한 문자 당 3바이트를 차지하기 때문에 잘림 또는 깨짐 현상이 발생한다. 해결 방법 ESRI에서 제공하고 있는 ArcGIS Pro_EUC-KR.zip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설치 방법 데이터 출처: https://www.esrikr.com/self-service/arcgis-10-2-10-4-desktop-korean-encoding-error/ .. 2023. 7. 22.
[ArcMap] Select by attribute, Select by location Select by attribute 특정 조건을 가진 속성 값을 가진 데이터를 선택하는 도구 레이어에서 원하는 피처를 필터링하여 선택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도시 레이어에서 인구가 100,000명 이상인 도시를 선택하거나, 식물 종류 레이어에서 "나무"라는 속성 값을 가진 식물 종류를 선택할 수 있음 Select by location 공간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도구 하나의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와의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겹치거나 인접하는 피처를 선택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도로 레이어에서 강 레이어와 겹치는 도로를 선택하거나, 포인트 레이어에서 특정 폴리곤 영역에 인접한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음 Select by location의 파라미터 - 관계 - 인터섹트(Int.. 2023. 7. 13.
[ArcGIS Pro] Query 쿼리(Query)는 식(expression)을 작성하여 특정 피처 또는 테이블을 선택할 때 사용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쿼리 언어인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문법을 사용하여 쿼리를 작성한다. ArcGIS Pro에서는 SQL을 기반으로 한 쿼리를 지원하여 데이터 검색, 필터링, 공간 분석, 조건부 연산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쿼리에서 원하는 피처를 선택하기 위해 필터링 조건을 지정해서 특정 속성 값을 가진 피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길이 > 1000"과 같은 조건을 지정하여 길이가 1000 이상인 도로를 선택할 수 있다. 쿼리 옵션은 '다음과 같음, 다음과 같지 않음, 다음보다 큼, 보다 크거나 .. 2023. 7. 13.
[ArcMap] dataset, feature, object의 차이 데이터셋(dataset) - 피처들을 저장하는 일종의 컨테이너이며, 하나 이상의 피처로 구성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하나의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는 ESRI Shapefile, GeoJSON, Geodatabase 등이 있음 - 쉽게 생각하면 하나 이상의 shp 파일 뭉치를 의미함 e) 도시의 지도 데이터셋은 도로, 건물, 강 등 다양한 피처로 구성될 수 있음 피처(feature) - 개별적인 개체(entity)를 나타냄 - 쉽게 생각하면 하나의 shp 파일을 의미함 e) 건물 피처는 건물 정보를 나타내고, 도로 피처는 도로 정보를 나타냄 객체(object) 피처 내에서 각각의 포인트, 라인, 폴리곤을 의미함 e) 건물 피처는 여러 개의 면, 도로 피.. 2023. 7. 13.
[공간통계] Moran's I와 Getis-Ord Gi*의 차이점 Moran's I와 Getis-Ord Gi는 모두 공간통계에서 사용되는 지수로, 공간 패턴을 분석하는 도구이다. 하지만 각각의 개념과 분석 목적에는 차이가 있다. Moran's I 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 Moran's I는 공간적 이질성을 측정하는 지수다. 이 지수는 각 지점의 값과 주변 지점들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공간 패턴의 유사성 또는 이질성을 파악한다. Moran's I는 -1에서 1까지의 값을 가지며, 양수일 경우 양의 공간 자기상관성(동질성)을 나타내고 음수일 경우 음의 공간 자기상관성(이질성)을 나타낸다. Moran's I는 특정 변수의 공간적 집중 현상, 공간 클러스터링, 공간 자기상관성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LH(low-high), HL(hig.. 2023. 7. 12.
[ArcMap] 단계구분도 (polygon) shp로 dot density (point) map 만들기 ArcMap 10.3 버전입니다. 할 작업 단계구분도 polygon shp 파일로 dot density point map 만들기 (결과물 예시) 단계구분도로 표현할 수 있는 polygon shp 파일로 dot density map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방법) Table Of Contents에서 해당 shp 파일을 오른쪽 클릭 > Properties > Symbology > Quantities > Dot density를 클릭한다. 표현하고자 하는 항목을 Field Selection에서 선택한 후 > 버튼을 눌러 오른쪽 상자 안으로 옮긴다. 일단 여기까지만 해도 dot density map을 완성할 수 있다. (디테일) - Point 변경: 오른쪽 상자 안에 있는 Symbol 모양을 더블클릭하면 poin.. 2023. 5. 25.
[공간분석]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접근성 분석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2SFCA) 2SFCA 방법론은 Luo and Wang(2003)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수요와 공급 그리고 거리를 활용하여 두 단계의 계산을 통해 접근성을 계산한다. Step 1. 첫번째 단계에서는 공급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 거리 내의 수요 인구를 합하고, 공급 대 수요 합의 비율을 계산한다. 이 값을 인구 대비 공급자 비율(Provider to Population Ratio, PPR)이라고 칭한다. 이때 기준 거리를 의미하는 $d_0$는 연구자가 주관적으로 설정하며, 실제 도로망을 활용하면 연구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S_j$는 $j$ 위치의 가용 의료 시설 수, $P_k$는 기준 거리 내에 있는 $k$ 위치의 인구 밀도, $d_.. 2023. 3.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