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논문 리뷰5

[논문 리뷰] Simini, F., Barlacchi, G., Luca, M., & Pappalardo, L. (2021). A deep gravity model for mobility flows generation. Nature communications, 12(1), 6576.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객체(e.g. 토지이용, 도로 네트워크, 교통, 음식, 건강 시설)를 이용하는 흐름 가능성(flow probabilities)을 생성하는 Deep Gravity 모델을 제안함.- 여러 객체와 모빌리티 흐름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를 발견하기 위하여 딥 뉴런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를 이용함.- 연구 지역은 영국, 이탈리아, 뉴욕임. Deep Gravity는 특히 붐비는 지역에서 전통적 중력 모델이나 딥 뉴런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모델에 비해 지리학적 일반화 능력(현실적인 흐름 생성)을 잘 보임. 심지어 트레이닝 데이터가 없는 지역에서도 좋은 결과 생성. 2024. 5. 31.
[논문 리뷰] Phithakkitnukoon, S., Smoreda, Z., & Olivier, P. (2012). Socio-geography of human mobility: A study using longitudinal mobile phone data. PloS one, 7(6), e39253. 1. Introduction- 모바일 폰 네트워크는 사람들의 대면 사회적 네트워크를 반영함- 모바일 폰을 활용한 연구는 인간 모빌리티, 사회 구조, 모빌리티와 사회 이벤트, 사회 네트워크와 경제, 사회 네트워크와 모빌리티, 사회 네트워크의 지리 등이 있음. 이 연구는 인간 모빌리티(human mobility)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함. 특히, 여행 범위(travel scope)의 지리적, 사회적 양상에 초점 맞춤(e.g. 방문 장소 등).- 인간의 모빌리티를 활용한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 content-based delivery networks, 장소 기반 추천 시스템 등이 있으며, 정확한 모델은 도시 계획, 인간 이주 패턴, 전염병 등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 2024. 5. 31.
[논문 리뷰] Dodge, S. (2022). 11. Context-dependent movement analysis. Handbook of Spati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187-207. 1. Introduction- 가능한 연구 주제: 이동 패턴이 어떻게/왜 생겼는지?, 이동이 도시 dynamics와 인간 social network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감염병이 local/global 스케일에서 어떻게 퍼지는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어느 정도로 위험에 노출되는지? - 전통 이동성 연구에서는 의미론적 연결이 부족. 따라서 이동의 context를 이해하는 연구 필요  2. Defining movement- 이동은 location, time, context로 구성됨- location: 유클리디안, 네트워크, 모자이크(tessellations)으로 모델링 가능- time: 선형, 주기적 차원- context는 내재적(개인의 상태, 이동 능력, 이동 목적 등), 외재적(이동을 일으키는 .. 2023. 8. 7.
[논문 리뷰] Wong, S., Rush, J., Bailey, F., & Just, A. C. (2023). Accessible Green Spaces? Spatial Disparities in Residential Green Spa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113(2),.. 데이터 및 방법론 [데이터] - NDVI, Tree Canopy [방법론] - (통계) 일반화 가법 모델 (Generalized Additive Models, GAMs) - (클러스터) Colocation Bivariate Local Join Count Statistics 2023. 5. 25.
[논문 리뷰] Wong, S., Ponder, C. S., & Melix, B. (2023). Spatial and racial covid-19 disparities in US nursing homes. Social Science & Medicine, 325, 115894. 0. 초록 - 2020-2021 미국 nursing home(양로원) 거주자의 COVID-19 감염과 사망의 특성 분석(인종/공간적) -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Kruskal-Wallis tests, Local Moran’s I 활용 - 히스패닉 거주자는 고위험군이며 공간적 불평등 감소를 위해 추가적 도움 필요 - 시골 지역 백인 거주자에게서 COVID-19 핫스팟 발견 1.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배경] - 전 세계적으로 facility 부족, 양로원 거주자는 취약, 전체 감염의 4%이지만 전체 사망의 1/3이 요양원과 관련, 이러한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비슷함 - 세계적으로 COVID-19 장기적 관리 및 이해 위해 COVID-1.. 2023.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