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12

[논문 리뷰] Simini, F., Barlacchi, G., Luca, M., & Pappalardo, L. (2021). A deep gravity model for mobility flows generation. Nature communications, 12(1), 6576.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객체(e.g. 토지이용, 도로 네트워크, 교통, 음식, 건강 시설)를 이용하는 흐름 가능성(flow probabilities)을 생성하는 Deep Gravity 모델을 제안함.- 여러 객체와 모빌리티 흐름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를 발견하기 위하여 딥 뉴런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를 이용함.- 연구 지역은 영국, 이탈리아, 뉴욕임. Deep Gravity는 특히 붐비는 지역에서 전통적 중력 모델이나 딥 뉴런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모델에 비해 지리학적 일반화 능력(현실적인 흐름 생성)을 잘 보임. 심지어 트레이닝 데이터가 없는 지역에서도 좋은 결과 생성. 2024. 5. 31.
[논문 리뷰] Phithakkitnukoon, S., Smoreda, Z., & Olivier, P. (2012). Socio-geography of human mobility: A study using longitudinal mobile phone data. PloS one, 7(6), e39253. 1. Introduction- 모바일 폰 네트워크는 사람들의 대면 사회적 네트워크를 반영함- 모바일 폰을 활용한 연구는 인간 모빌리티, 사회 구조, 모빌리티와 사회 이벤트, 사회 네트워크와 경제, 사회 네트워크와 모빌리티, 사회 네트워크의 지리 등이 있음. 이 연구는 인간 모빌리티(human mobility)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함. 특히, 여행 범위(travel scope)의 지리적, 사회적 양상에 초점 맞춤(e.g. 방문 장소 등).- 인간의 모빌리티를 활용한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 content-based delivery networks, 장소 기반 추천 시스템 등이 있으며, 정확한 모델은 도시 계획, 인간 이주 패턴, 전염병 등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 2024. 5. 31.
[예산] 사업 제안서 예산 작성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8.
오버투어리즘, 주민을 몰아내는 관광 https://www.youtube.com/watch?v=6rC-8o7J4eI&ab_channel=SBS%EB%89%B4%EC%8A%A4 2024. 1. 21.
[대학원] 데스크톱, 노트북, 아이패드 모두 연동시켜 논문 읽는 방법 추천 새로운 툴을 찾는 여정원래 서지 관리 프로그램으로 Mendeley[멘델레이]를 이용하고 있었다. 원래 아이패드에 Mendeley 어플이 있었는데 몇 년 전에 없어졌고, 어플이 있었을 때도 아이패드를 이용해서 논문에 필기나 메모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읽어야 할 논문이 쌓이면서 새로운 서지 관리법에 대해 찾아보기 시작했다. 내가 원하는 점은1) 데스크톱, 노트북, 아이패드 모든 환경에서 연동이 가능할 것, 2) 아이패드에서 필기나 메모를 할 수 있을 것이었다. 드디어 발견한 방법!Zotero[조테로]와 구글 드라이브, Documents를 이용하면 내가 원하는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물론 무료로! 원리는 이렇다. Zotero의 경로를 구글 드라이브로 설정하고, 아이패드에서 .. 2024. 1. 17.
[대학원] 좋은 연구실, 좋은 교수님 찾는 법 석사 과정을 마치고 나니 주변에서 '좋은 연구실', '좋은 교수님'에 대한 질문을 종종 받는다. 그리고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 이런 기준에 대해 많은 조언을 얻었다. 나는 아직 🐸우물 안 개구리🐸지만, 박사 유학을 준비하는 석사 졸업생 입장에서 내가 생각하는 '좋은 연구실'과 '좋은 교수님'을 찾는 주관적인 기준들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 좋은 연구실 석사 과정을 겪으면서, 그리고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 정리한 기준들은 아래와 같다. 🔎 학교, 학과 랭킹이 좋은지: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는 현재 학교보다 월드 랭킹이 좋은지, 학과 규모가 더 큰지, 세부 전공 교수님이 더 많은지 등을 살펴봤다. 랭킹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 예시는 아래에 추가해두었다. 참고로 학부 랭킹과 대학원 랭킹은 다를 수 있다... 2023. 12. 31.
[논문 리뷰] Dodge, S. (2022). 11. Context-dependent movement analysis. Handbook of Spati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187-207. 1. Introduction- 가능한 연구 주제: 이동 패턴이 어떻게/왜 생겼는지?, 이동이 도시 dynamics와 인간 social network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감염병이 local/global 스케일에서 어떻게 퍼지는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어느 정도로 위험에 노출되는지? - 전통 이동성 연구에서는 의미론적 연결이 부족. 따라서 이동의 context를 이해하는 연구 필요  2. Defining movement- 이동은 location, time, context로 구성됨- location: 유클리디안, 네트워크, 모자이크(tessellations)으로 모델링 가능- time: 선형, 주기적 차원- context는 내재적(개인의 상태, 이동 능력, 이동 목적 등), 외재적(이동을 일으키는 .. 2023. 8. 7.
[논문 리뷰] Wong, S., Rush, J., Bailey, F., & Just, A. C. (2023). Accessible Green Spaces? Spatial Disparities in Residential Green Spa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113(2),.. 데이터 및 방법론 [데이터] - NDVI, Tree Canopy [방법론] - (통계) 일반화 가법 모델 (Generalized Additive Models, GAMs) - (클러스터) Colocation Bivariate Local Join Count Statistics 2023. 5. 25.
[논문 리뷰] Wong, S., Ponder, C. S., & Melix, B. (2023). Spatial and racial covid-19 disparities in US nursing homes. Social Science & Medicine, 325, 115894. 0. 초록 - 2020-2021 미국 nursing home(양로원) 거주자의 COVID-19 감염과 사망의 특성 분석(인종/공간적) -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Kruskal-Wallis tests, Local Moran’s I 활용 - 히스패닉 거주자는 고위험군이며 공간적 불평등 감소를 위해 추가적 도움 필요 - 시골 지역 백인 거주자에게서 COVID-19 핫스팟 발견 1.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배경] - 전 세계적으로 facility 부족, 양로원 거주자는 취약, 전체 감염의 4%이지만 전체 사망의 1/3이 요양원과 관련, 이러한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비슷함 - 세계적으로 COVID-19 장기적 관리 및 이해 위해 COVID-1.. 2023. 5. 22.
[논문] doi 찾기, 정확한 인용 정보 찾는 법 Reference와 DOI 논문을 작성하며 인용한 paper, book, conference presentation 등은 논문의 마지막 reference 부분에 꼭 기재해야 한다. 그러나 각 저널마다 reference 작성 규칙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저널의 Journal Style Sheet를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종종 reference 정보 뒤에 doi를 요구하는 저널이 있다. doi란, 책이나 잡지 등에 매겨진 국제표준도서번호(ISBN)와 같이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번호로 디지털 콘텐츠(객체) 식별자라 한다. DOI에는 디지털 콘텐츠 소유자 · 제공자를 비롯해 데이터에 관한 각종 정보가 입력되어 있어 디지털 콘텐츠의 주소나 위치가 바뀌어도 쉽게 찾을 수 있고 저작자 보호와 콘텐츠.. 2023. 1. 7.
[PPT, Keynote] 파워포인트, 키노트에서 녹음 녹화하는 방법 / 학회, 수업 발표 영상 만드는 방법 코로나 시대가 되면서 오프라인 모임이 점점 줄어들고, 정기 학술대회도 온라인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 학회 발표 자료를 준비하면서 알게 된 다른 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이 윈도우, 맥 환경 PPT에서 녹음/녹화하는 법과, 맥 환경 키노트에서 녹음/녹화하는 법을 정리해보았다. PPT와 키노트 둘 다 발표자의 얼굴은 녹화하지 못하고, 컴퓨터 화면만 녹화하는 기능이다. [윈도우 파워포인트에서 발표 영상 만들기] -파워포인트 2016 버전- 먼저, 파워포인트 파일을 연 뒤, 슬라이드 쇼 > 슬라이드 쇼 녹화를 클릭한다. 1페이지부터 녹음이 가능한 '처음부터 녹음 시작'과, 현재 띄워놓은 페이지부터 녹음이 가능한 '현재 슬라이드에서 녹음 시작'이 있다. 마이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 사진에서처럼 아래쪽 체.. 2022. 12. 16.
[수업] 발제란? / 수업에서 발제하는 법 / 발제 팁 정리 발제란? / 수업 발제 팁 모음 지난 학기에 두 개의 대학원 발제 수업을 수강했는데, 처음 발제 과제를 접하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래서 여러 연구실 선배들에게 다양한 팁들을 얻었고, 나와 같이 어리둥절😧 해 있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자 나의 발제 준비 과정을 정리해보았다. 내가 느낀 발제란 자신이 읽은 것을 '자신의 말'로 정리해서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일이었다. 즉, 자신의 말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읽은 것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 수강한 두 수업은 스타일이 조금 달랐다. 둘 다 일정 부분의 책을 읽고 '요약'하여 정리한다는 점에서는 같았으나 이 요약문을 발표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다. ​ 1. 종이에 요약하여 발표 A 수업에서는 다음 시간에 .. 2022.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