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전 글에서 이어진다. step 1 과정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rcMap]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분석하는 법 - Step1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개념은 의외로 간단하기 때문에 ArcGIS에서도 Buffer와 Spatial Join 툴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서는 ArcGIS에서 실습할 수 있는 샘플 데이터와 실습
luckylucy.tistory.com
2SFCA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간분석]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접근성 분석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2SFCA) 2SFCA 방법론은 Luo and Wang(2003)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수요와 공급 그리고 거리를 활용하여 두 단계의 계산을 통해 접근성을 계산한다. Step 1. 첫번째 단계에서는 공급
luckylucy.tistory.com
Arcmap을 활용한 실습
2SFCA - Step 2
1. 센트로이드를 기준으로 버퍼를 만든다.
Buffer 툴에서 Input은 Los_Angeles_Centroid_Inside,
Output은 LA_Centroid_Buffer,
Linear unit은 10 Mile로 설정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c8EDg/btsx1Q4snaq/bR12nQqj1Xg9Rf35nfhK4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f84hN/btsx2O6rDqh/2UtQi8zXNVMtcYgorO1rIk/img.png)
2. Spatial Join 툴을 열고
Target은 LA_Centroid_Buffer,
Join은 LA_Hospitals_ProToPop,
Output은 LA_second_catchment로 지정한다.
Match Option을 COMPLETELY_CONTAINS로 선택하고, ProToPop의 Merge Rule을 Sum으로 변경한다.
![](https://blog.kakaocdn.net/dn/nFSwB/btsxsmxsxKB/qYwp3A95lIKSrTTHZ26gn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k4J92/btsxsQZEG2e/fEFtyEg349DI97aqmV4m1K/img.png)
3. Los_Angeles_Census_Tract 데이터를 불러온다. 이제 LA_second_catchment 데이터를 Los_Angeles_Census_Tract 데이터에 Join 할 것이다. Los_Angeles_Census_Tract 데이터의 join을 툴을 열고, 1은 Id2, 2는 LA_second_catchment, 3은 Id2로 설정하고 OK를 누른다.
Yes를 누른다.
4. 조인한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Export Data를 통해 새로 저장해주어야 한다. Los_Angeles_Census_Tract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Data > Export Data를 클릭하여 LA_2SFCA라는 이름의 shp 파일로 저장해준다. Yes를 눌러 LA_2SFCA를 지도에 추가한다.
5. 이제 결과를 시각화 해본다. LA_2SFCA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Properties...를 클릭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Symbology > Quantities > Graduated colors에 들어간다. Value는 ProToPop으로 지정하면 된다.
완성!
병원과 함께 시각화하면 이런 모습이다.
지도 요소까지 넣어서 꾸미면 이런 모습으로 완성이 된다. 2SFCA 값은 상대값이며, 값이 클수록 비교적 접근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2SFCA 기반 방법론들>
- E2SFCA(Enhanced 2SFCA) : 거리조락 개념 반영
- V2SFCA(Variable 2SFCA) : 사전에 정해 둔 기준에 맞는 다양한 임계거리 적용
- 수정 3SFCA : 거리가중치 개념을 적용하여 3Step으로 한 단계를 추가
<참고>
- Luo, W., & Wang, F. (2003).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6), 865-884.
- Luo, W., & Whippo, T. (2012). Variable catchment sizes for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method. Health & place, 18(4), 789-795.
- 박정환, 우현지, & 김영훈. (2017). 수정 3SFCA 모형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분석: 충청남도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388-402.
'GIS > ArcM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cMap] 네트워크 분석 - Service Area 분석하는 방법 (0) | 2023.10.11 |
---|---|
[ArcGIS Pro] 네트워크 분석 - Service Area 분석하는 방법 (0) | 2023.10.10 |
[ArcMap] 2SFCA(Two-Step Floatching Catchment Area) 분석하는 법 - Step1 (0) | 2023.10.10 |
[ESRI] ArcGIS Storymap 만드는 방법 (0) | 2023.08.09 |
[ArcMap] Define Projection과 Project의 차이점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