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 연구 목적: Human mobility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불에 대한 장기간 resilience 연구
- Resilience triangle
2. Methodology
2.1. Study area
- Mendocino complex (MC), Camp wildfires
- January 2018 – December 2019
2.2. Data collection
- Safegraph human mobility by Census Block Group
2.3. Centrality measurement
2.3.1. Outlier detection
- Mahalanobis distance
2.3.2. Degree centrality analysis
- 흐름에 의해 재난에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
- In-degree centrality에 집중하여 resilience 측정
- 연구 질문
- Degree centrality가 언제 가장 낮고, 증가하기 시작하는지
- Degree centrality가 원래대로 돌아올 수 있는지, 새로운 normalcy를 보이는지
- 다른 CBD 사이에 유사성이 있는지
2.4. Resilience triangle detection
- Degree centrality 결과 활용, 날짜별 scaled average degree centrality 그래프화
- vulnerability, robustness 계산
2.5. Dynamic time warping clustering
- Degree centrality 결과 활용, CBG별 패턴 변화의 유사성 분석
2.6. Regression analysis
- 종속변수: Degree centrality
- 독립변수: 9가지
- home CBG에서 target CBG까지 평균 거리
- 3km 이내 이동한 사람의 비율
- 산불 지역 내에 속하는 target CBG
- target CBG의 중위 소득
- " 중위 남성 연령
- " 중위 여성 연령
- " full-time workers
- " 학사 이상 학력 비율
3. Results and discussion
- Fig. 6
출처: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24.102110
- 산불 발생 직후, 즉각적인 human mobility 감소 나타남. 이후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한 뒤, 점차적으로 원래대로 복구되거나 새로운 normalcy 형성
- DTW clustering을 통해 세 가지 클러스터 형성
- Fig. 7, Table 3
- resilience triangle로 면적이 작은(회복력이 좋은) 클러스터 분석
- Table 4
- 회귀 분석으로 degree centrality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분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