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과정을 마치고 나니 주변에서 '좋은 연구실', '좋은 교수님'에 대한 질문을 종종 받는다. 그리고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 이런 기준에 대해 많은 조언을 얻었다. 나는 아직 🐸우물 안 개구리🐸지만, 박사 유학을 준비하는 석사 졸업생 입장에서 내가 생각하는 '좋은 연구실'과 '좋은 교수님'을 찾는 주관적인 기준들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 좋은 연구실
석사 과정을 겪으면서, 그리고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 정리한 기준들은 아래와 같다.
🔎 학교, 학과 랭킹이 좋은지: 박사 유학을 준비하면서는 현재 학교보다 월드 랭킹이 좋은지, 학과 규모가 더 큰지, 세부 전공 교수님이 더 많은지 등을 살펴봤다. 랭킹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 예시는 아래에 추가해두었다. 참고로 학부 랭킹과 대학원 랭킹은 다를 수 있다.
- QS 월드 랭킹: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
- 상하이 랭킹: https://www.shanghairanking.com/rankings
- 대학원 랭킹: https://www.usnews.com/best-graduate-schools
🔎 프로젝트가 꾸준히 있는지: 연구 과제나 용역 과제가 꾸준히 있어야 학생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고, 프로젝트 참여 실적을 많이 쌓을 수 있다.
🔎 논문이 자주 나오는지: 교수님 또는 연구실원들이 논문을 자주 쓰고 논문 쓰는 것을 장려하는 분위기가 좋은 것 같다. 박사 유학 준비를 해보니 논문 실적이 많은 점을 좋게 봐주셨다. 자주도 중요하지만 좋은 저널(SCI, SSCI, impact factor 등)인지도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 연구실원끼리 서로 논문 공동 저자로 넣어주는지: 흔히 논문 버스를 태워준다고 표현하던데, 연구실원들끼리 서로 2, 3저자로 이름을 넣어주면 논문 실적이 금방금방 늘어난다.
🔎 학계 또는 산업계로 아웃풋이 좋은지: 유학을 선호하는 교수님이 있고, 취업을 선호하는 교수님이 있다. 본인의 학업 또는 취업 목표에 따라서 연구실 출신들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면 좋다. 보통 연구실 웹사이트에 Alumni 탭을 살펴보면 정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박사 과정생이 한 명 이상 있는지: 석사 입장에서 학업적으로 도움 받기도 좋고, 박사 과정이 PM(프로젝트 관리)을 맡는 경우가 많아서 석사생 입장에서는 조금 더 편안한 환경이었다.
🔎 연구실원끼리 분위기가 좋은지: 이건 기존 연구실원과 친하지 않으면 알기 어려운 정보이긴 하지만, 최소 2년간 동고동락할 사이이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나는 연구실에 있는 학생에게 직접 메일을 보내서 연구실 분위기나 교수님에 대해 이것저것 여쭤봤었다.
📌 좋은 교수님
좋은 연구실의 기준과 비슷한 것이 있다.
🔎 연구 분야가 나와 어느 정도 일치하시는지: 나와 연구 주제가 100% 일치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비슷한 면이 있어야 한다.
🔎 연구실원에게 관심이 많으신지: 친구네 교수님은 학부생에게는 관심이 많고 인기가 많은데, 대학원생에게는 별로 관심이 없다고 들었다. 연구실원들이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향후 학업/취업 계획은 어떤지 관심이 많으시면 좋은 것 같다.
🔎 학생과 논문 협업을 자주 하시는지: 좋은 연구실의 기준에서 작성한 내용과 비슷하다.
🔎 학회에서 활동을 열심히 하시는지, CV나 웹사이트 업데이트를 자주 하시는지: 유학 준비를 할 때 학과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팁이다. 연구 활동에 관심이 많고 열심히 하시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 중 하나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동양인/한국인 학생을 데리고 있었는지: 유학을 가는 경우에는 동양인이나 한국인에게 우호적인 교수님일수록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한다.
🔎 박사 학생의 경우 몇 년 데리고 있었는지: 박사 졸업을 시켜주는 데 몇 년 정도 걸리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주관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며, 내용이 수정되거나 추가될 수 있습니다.
질문이나 코멘트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대학원 > 대학원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투어리즘, 주민을 몰아내는 관광 (0) | 2024.01.21 |
---|---|
[대학원] 데스크톱, 노트북, 아이패드 모두 연동시켜 논문 읽는 방법 추천 (4) | 2024.01.17 |
[논문] doi 찾기, 정확한 인용 정보 찾는 법 (1) | 2023.01.07 |
[PPT, Keynote] 파워포인트, 키노트에서 녹음 녹화하는 방법 / 학회, 수업 발표 영상 만드는 방법 (0) | 2022.12.16 |
[수업] 발제란? / 수업에서 발제하는 법 / 발제 팁 정리 (0) | 202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