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2SFCA)
2SFCA 방법론은 Luo and Wang(2003)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수요와 공급 그리고 거리를 활용하여 두 단계의 계산을 통해 접근성을 계산한다.
Step 1.
첫번째 단계에서는 공급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 거리 내의 수요 인구를 합하고, 공급 대 수요 합의 비율을 계산한다. 이 값을 인구 대비 공급자 비율(Provider to Population Ratio, PPR)이라고 칭한다. 이때 기준 거리를 의미하는 $d_0$는 연구자가 주관적으로 설정하며, 실제 도로망을 활용하면 연구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S_j$는 $j$ 위치의 가용 의료 시설 수, $P_k$는 기준 거리 내에 있는 $k$ 위치의 인구 밀도, $d_{kj}$는 $k$에서 $j$까지 거리, $R_j$는 $j$ 위치에서의 인구 대비 의료 시설 수, 즉 PPR을 의미한다.
$R_j=\frac{S_j}{\sum_{k\in\left\{d_{ij}\leq d_0\right\}}P_k}$
Step 2.
두번째 단계에서는 수요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 거리 내에 있는 공급 시설의 PPR 값을 합하여 계산하며, $A_i$로 표현할 수 있다.
$A_i={\sum_{j\in\left\{d_{ij}\leq d_0\right\}}R_j}$
실습
ArcMap
https://luckylucy.tistory.com/105
https://luckylucy.tistory.com/106
Python
참고 문헌
Luo, W., & Wang, F. (2003).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6), 865-884.
McGrail, M. R. (2012).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health care utilising the two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an assessment of recent impr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1(1), 1-12.
Neutens, T. (2015). Accessibility, equity and health care: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ransport geographer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3, 14-27.
'GIS > Spatial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vity model for spatial decay effect (0) | 2024.11.04 |
---|---|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DBSCAN)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0) | 2024.10.24 |
Dynamic Time Warping (DTW) with trajectory data 시계열 분석 (0) | 2024.09.28 |
Moran's I와 Getis-Ord Gi*의 차이점 (0) | 2023.07.12 |
Moran's $I$, 공간적 자기 상관 정량화 (0) | 2023.02.21 |